반응형

전체 글 397

큰별쌤의 민주주의 이야기

[최태성*한국사 강사]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그때 발표 내용이 쇼크잖아요. 심문 받는 과정 속에서 ‘딱’ ‘억’ 하고 죽었다는 거예요. 심장마비로 죽었다는 거예요. 거짓말이 상습적으로 훈련되어 있는 정부였던 것 같아요. 한 사람의 생명을 너무 우습게 본 거죠. 한 사람의 인권을 존중하지 않는 거죠. 나중에 알게 되었습니다. [물고문에 의해서 죽어 나간 박종철]  여러분, 이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이 세상에 알려지게 된 그 날도 1987년 5월 18일. 5.18민주화운동은 광주에서만의 문제가 아니었던 거예요. 5월 18일 민주화 운동의 씨앗이 계속 계속 터지면서 87년 5월 18일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이 알려지게 되었고 이 모습들은 6월항쟁으로 연결이 되는 겁니다. 부산, 마산, 광주에서 시작되었던 민주화..

공감 2025.01.21

지방간에 대한 오해와 진실

[박용우*가정의학과]  지방간의 진단지방간같은 경우에 진단을 내리기가 쉽지 않습니다. 간 무게 5% 이상 지방에 쌓여 있을 때 지방간이라고 얘기합니다.  초기 단계에서는 임상적으로 찾아낼 수 있는 방법이 없어요. 간생검을 통해서만 진단이 가능한데 멀쩡한 간에 조직 검사를 한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거든요. 보통 건강검진을 받게 되면 초음파 검사를 하게 되고 초음파검사에서 지방간이라는 진단을 받는 경우가 있는데 초음파에서 지방간이 보일 정도면 이미 간에 지방이 20% 이상 쌓여 있어야 됩니다. 한참 진행된 다음에 초음파에서 지방간이라고 나오는 거예요. 초음파에서 지방간이라고 진단을 받으신 분들은 많이 진행이 된 겁니다.“저는 피검사를 해봤는데 간기능 수치가 정상이던데요.” 네, 대개 정상으로 나옵니다. 간..

공감 2025.01.14

세상에 안되는 건 없다, 다~ 된다!

[고혜성*개그맨,동기부여강사] 16년 전에 개그콘서트에서 파란 추리닝을 입고 이런 개그를 했었습니다.“일구야, 형이야. 짜장면 한 그릇 2,000원에 안도 형이 예보야. 형이 세 살 더 많네. 이천 원에 안 되겠니?” 파란 추리닝을 입고 이렇게 개그를 하다가 지금은 강사로 벌써 16년을 하고 있습니다. 개그맨 되기가 쉬웠을까요, 어려웠을까요? 네, 개그맨이 되는 데 7년 걸렸습니다. 스물다섯 살 때 제대하자마자 시험을 딱 보러 갔는데 예선 탈락을 했습니다. 공채 시험에서 한 번도 합격한 적이 없어요. 일반인이 개콘에 한 번 나온 겁니다. 개그콘서트 피디님께서 저를 실험 삼아 한 번 테스트해본 거예요. 왜냐하면 개그콘서트는 녹화방송이기 때문에 재미없으면 안 내보내면 되니까요. 그래서 일요일 방송 나가고, ..

공감 2025.01.07

예비 초등학생 부모의 고민 해결!

[백다은*초등교사/ebs강사]  저는 두 아이를 키우는 엄마이자 교육자로서, 인생의 모든 문제는 결국 마음속에 자리 잡은 한 줄의 생각이 바뀌어야 해결된다는 믿음으로 책을 집필하게 되었습니다. 임신, 출산, 육아를 포함한 다양한 교육 관련 주제들을 중심으로 고민과 상담의 장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초등 입학할 때 육아휴직, 꼭 필요한가요?아이의 초등학교 입학은 아이뿐만 아니라 부모에게도 중요한 전환점입니다. 이 시기에 많은 부모님들이 "초등 1학년 적응기를 위해 육아휴직을 해야 할까요?"라는 고민을 하곤 합니다. 초등 1학년, 그리고 1학기, 더 좁히면 3~4월이 초등학교 적응기의 꽃입니다.솔직히 여유가 있으시다면 쓰시고요. 그러나 여유가 부족한 상황에서 전체 학기, 혹은 학년 동안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것..

공감 2025.01.01

진짜 공부하는 아이들의 특징

[정승익*EBS수능영어강사]  “스마트폰 버릴 수 있나요?”아이들에게 이런 질문을 던집니다. “여러분 공부 잘하고 싶어요? 그러면 공부를 위해서 스마트폰을 버릴 수 있나요?”  약 200명의 학생이 대상으로 이런 얘기를 하잖아요. 적막해집니다. 분위기 굉장히 이상해집니다. 그런데 이게 참 이상한 겁니다. 우리 세대는 아이들에게 휴대폰을 사주고 쓰도록 해주면서 공부를 잘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이게 참 힘든 일이라고 생각을 하거든요. 당연한 일들에 대해서 당연하지 않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스마트폰을 많이 쓰는 아이가 공부를 잘할 수 있느냐, 전국적으로 있긴 있겠죠. 하지만 확률적으로 상당히 낮을 겁니다.  수능 영어 1등급의 비율이 상위 2%입니다. 그 상위 2%의 모습을 상상해봅시..

공감 2024.12.26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찾기

[최충만*청소년심리상담가]“공부를 왜 하니?” “엄마 때문에 하죠.”“엄마 때문에 한다고? 그게 무슨 뜻이야?” “엄마 잔소리 듣기 싫으니까요”“야, 우주과학자 되겠다는 녀석이 엄마 때문에 공부하냐? 엄마 때문에 공부한다고 생각하면 기분 어때?”“안좋죠!”“그런 기분이면 공부할 때 공부가 잘돼, 안돼?” “안돼죠.”  “야, 그러면 말이야. 우주 과학자가 되기 위해서 공부한다고 생각하면 기분 어때?” “그러면 기분 좋죠.” “그래? 그런 기분이면 공부할 때 어떨 것 같아?” “잘될 것 같은데요.”“야, 그러면 엄마 때문에 공부하지 말고 우주 과학자가 되기 위해서 공부를 해.” 그러고 나서 한 2, 3주 있다가 시험을 봤거든요. 이 친구가 성적이 어떻게 됐을까요? 잘 나왔겠죠. 평균 92점이 나왔어요. 한..

공감 2024.12.22

인생의 행복은 ‘겪어보면 안다’

[김홍신*소설가]  소중한 것은 잘 모른다사람이 살면서 겪어 보면 뭔가를 알게 텐데, 사실 지나고 보면 다 잊어버리는 경우가 아주 많습니다. 저도 어디 가서 잘난 척하고 세상 사는 법을 ‘이렇게 이렇게 살아라’ 이렇게 말은 잘하는데, 하룻밤 자고 나면 저도 잊습니다. 그것이 [인생사]라고 생각했고요. 우리 성현들이 겪어 본 이야기를 통해서 세상의 지혜를 남겨요. 우리가 그걸 겪으면서 ‘아, 이래서 이런 지혜가 이 세상에 나타났구나’ 이런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러나 살면서 그걸 늘 지키기는 정말 어렵습니다.  굶주림이 얼마나 절박한가를 알고 밥이나 빵이나 비상식량이 생기는 순간 그게 하늘이라고 인식을 합니다. 그런데 요즘처럼 식량이 풍부해지고 먹을 게 많아지면 밥이 하늘이라는 걸 모르거든요. 그냥 사는 ..

공감 2024.12.17

방송대학TV <최태성의 "지식+(플러스)"> 공개방송 방청객 모집

각 분야 최고의 전문가를 모시고 공개 강연을 하고 있는 방송대지식+(유튜브) 채널은 지난 12월 11일(수) 1회, "이대호의 지식플러스" 강연을 마쳤습니다. 이번 2회 출연자로는 우리나라 한국사 1타 강사, "큰 별샘 최태성"님을 모시고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는 어떻게 발전하였나"에 대해 1시간 공개 강연을 하려 합니다. 여러분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1. 일시: 2025.1.3.(금) 19시 2. 녹화 장소: 방송대 본관 디지털미디어센터 4층 3. 인원: 미정(초등학생부터 입장가능) 4. 신청기간: 2024.12.30. 09시까지 5. 신청 주소:   https://buly.kr/6igAiAi

알림 2024.12.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