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

일본과 강대국의 한반도 점령기

K숲 2022. 9. 29. 08:00

[썬킴 * 역사 스토리텔러]

일본과 강대국의 한반도 점령기
일본과 강대국의 한반도 점령기

역사는 연도나 사건을 달달 외우는 단순 교과과목이 아니라 그 뒤에 숨겨진 당시 사람들의 눈물과 웃음, 절망과 희망, 분노와 저주 같은 역동적인 삶을 들여다보는 것일 텐데요, 청일전쟁과 러일전쟁 당시 우리나라와 주변 강대국들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청일전쟁1894 충청도 앞바다 풍도라는 섬에서 일본이 청나라 군함에 선방을 날리며 시작된 일본과 청나라의 조선에 대한 주도권 싸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청나라에 조선에서 물러날 것을 요구하고, 1905년의 을사늑약으로 우리나라는 일본에 외교권을 빼앗긴 후, 1910년 경술국치로 나라가 망하면서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게 됩니다.

 

철도

청일전쟁 결과 국제정세도 큰 변화를 맞았는데요, 전쟁에 패한 청나라가 요동반도를 일본에 빼앗기자 당시 시베리아 관통 철도를 건설 중이던 러시아는 일본에 요동반도 지역을 청나라에 반환할 것을 요구합니다.

황당한 일본은 당연히 거절하고, 이에 격분한 러시아는 프랑스, 독일과 연합하여 일본을 압박하게 되죠.

열강을 등에 업은 러시아와의 싸움에 승산이 없다고 판단한 일본은 어쩔 수 없이 요동반도를 청나라에 반환하게 되는데 이것을 삼국간섭이라고 말합니다.

러시아 덕분에 가만히 앉아서 요동반도를 되찾은 청나라 러시아에 요동반도의 철도 공사 권리를 주고, 프랑스에는 광저우의 조차권, 독일에는 칭다오를 주게 됩니다.

여담이지만 칭다오를 지배하던 독일인들에 의해 맥주 사업이 발달하면서 산동반도의 작은 도시에 불과하던 칭다오가 중국 최고의 맥주 산지로 거듭나게 됩니다.

맥주 생산
맥주 생산

 

원한이 생긴 일본이 호시탐탐 러시아 공격의 기회를 보던 중에, 열강의 견제를 파악한 명성황후가 동북아 세력 다툼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러시아에 적극적인 친러정책을 펼치자 일본은 조선마저 러시아에 빼앗길지 모른다는 위기감을 느끼게 되죠. 그래서 일본의 변호사, 신문사 사장, 외교관 등의 엘리트들이 동참하여 궁녀 의복을 입고 탈출하려던 명성황후를 시해하는 끔찍한 사건을 일으킵니다.

두려움을 느낀 고종은 지금의 경향신문사와 덕수궁 사이의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하며 아관파천하는데요, 아관파천(俄館播遷)은 말 그대로 러시아를 뜻하는 중국어 '아라사(俄羅斯)''''공사관(公使館)'''을 따서 아관, 임금이 도성을 떠나 다른 곳으로 피란한다는 파천(播遷)을 합하여 만든 말입니다.

임진왜란 때의 선조, 병자호란 때의 인조가 파천한 것처럼 고종 역시 러시아 공사관으로 파천한 것이죠.

 

고종은 아관파천 동안 치외법권이 인정되는 러시아 공사관에 머물렀기 때문에 일본의 간섭을 피할 수 있었는데요, 이 때문에 일본은 조선이 러시아에 넘어갈 것이라는 위기감을 느끼고 러시아의 시베리아 관통 철도가 완공되면 이길 승산이 없다고 판단하여 1904에 선전포고도 없이 요동반도의 여순항을 공격하며 전쟁을 발발합니다.

이것이 러일전쟁으로, 1905년 일본의 승리로 끝나게 되죠.

 

당시 미국은 서부개척을 거의 마무리한 후여서 러시아의 확장을 견제하기 위해 물심양면으로 일본을 돕다가 나중에는 전쟁의 중재 역할까지 자처하며 미국의 포츠머스에 러시아와 일본을 불러 회담을 주최하고 전쟁 배상문제를 논의하는 강화조약을 체결합니다.

결과적으로 미국은 러시아를 한반도에서 내쫓으며 견제에 성공하고, 일본은 한반도 식민지화의 정당성을 얻게 되고, 전쟁 후 배상문제를 논의하는 복잡한 국제정세 속의 1905, 일본의 이토 히로부미가 대한제국을 강압하여 고종의 도장도 없이 을사늑약을 체결함으로써 외교권을 박탈당한 대한제국은 사실상 일본의 식민지가 됩니다.

 

이때 미국 육군 장관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와 일본 제국 내각총리대신 가쓰라 다로는 도쿄에서 가쓰라-태프트 밀약을 맺어 미국의 필리핀에 대한 지배권과 일본의 대한제국에 대한 지배권을 상호 승인함으로써 우리 민족시련의 역사가 본격화됨과 동시에 미국은 전쟁을 평화적으로 정리하고 러일전쟁의 중재를 훌륭히 수행했다는 여론을 만들어 당시 미 대통령이던 루스벨트 대통령은 노벨평화상을 수상하게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