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준비 교육의 목적]
1. 노화에 따른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 변화 이해
○ 퇴직 이후 발생할 신체상태 변화, 사회 및 가족관계 변화, 심리상태 변화 등에 대한 이해
○ 신체적 건강 유지 및 심리적 안정감 유지가 목적
2. 퇴직 이후의 실제 삶의 문제 대비
○ 수입원의 감소 및 여가의 활용 방법 모색
○ 시간 관리 교육, 취미 생활 관련 교육, 재정관리법 교육, 재취업 교육 등 진행
3. 퇴직 이후 장기간의 삶 설계
○ 퇴직 이후 20~30년간의 삶의 목표 재정립 필요
○ 인생 회고와 새로운 목표에 따른 구체적 인생계획 수립
[퇴직준비 교육의 내용]
1. 건강영역
○ 건강이 확보되어야 취업, 자원봉사활동 등의 다양한 활동 가능
○ 의료비 지출로 인한 소득 감소 등 예방 가능
[내용]
- 노인성 질병 : 중장년층이 경각심을 가져야 하는 노인성 질환과 그 예방법 소개
- 운동관리 : 노인성 질환 예방을 위한 적합한 운동방법 소개와 운동의 효과 소개
- 식단관리 : 노후의 건강관리 증진을 위해 피해야 할 음식과 균형 잡힌 식단 소개
- 생활관리 : 금주 금연의 필요성 강조 및 충분한 수면, 건강검진, 스케일링의 중요성 소개
- 건강관리 : 노인 대상 각종 의료 지원 서비스 이해, 건강관리 계획 수립
2. 재무영역
○ 수입원 감소는 퇴직자와 그 가족에 큰 영향을 미침
○ 가능한 한 일찍 재무영역에 대한 준비가 요구됨
[내용]
- 연금 관리 : 국민연금, 기초(노령)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주택연금, 즉시연금 등의 예상수령액 계산 및 관리방법 이해
- 부동산 관리 : 미래 부동산 시장의 분석을 통해 처분할 부동산과 투자할 부동산 파악 통한 자산관리
- 세금 관리 : 퇴직 이후 알아야 할 세무지식에 대한 이해를 통해 적절한 금융 재무 방법 이해
- 재무 설계 : 유동자산, 부동산, 부채내역, 예상지출 내역 등의 분석을 통해 퇴직 이후 25~30년간의 재무 설계
3. 자기 이해
○ 퇴직 후 20~30년간의 장기적 삶 설계가 필요함
○ 자기 이해를 통해 삶의 목표 재설계
[내용]
- 인생 회고 : 자서전 쓰기, 주요 인생사건 기술 등을 통해 지난 삶에 대한 반성과 감사함 찾기
- 목표 설정 : 퇴직 이후 삶의 방향 설정 및 자기 계발 계획 수립
- 성격 이해 : 심리검사를 통한 자신의 성격의 장단점 파악
- 죽음 준비 : 자신과 가족의 의미 있는 죽음을 준비하기 위한 죽음 관련 지식 및 태도 습득
- 퇴직계획서 작성 : 퇴직 이후 생활에 대한 구체적 계획 수립 이후 동료 퇴직자와의 정보 교환
4. 대인관계 및 사회활동
○ 긍정적 가족관계를 갖기 위한 다양한 활동
○ 새로운 사회적 역할 수행을 위한 다양한 활동
[내용]
- 부부 관계 : 퇴직 이후 부부간 관계의 변화 이해 및 효과적 의사소통법 탐구
- 가족관계 : 성인 자녀, 형제자매와의 관계 이해 및 관계회복 방법 탐구
- 친구 관계 : 노년기 친구의 중요성 이해 및 새롭게 사람 사귀는 법 이해
- 자원봉사 : 자원봉사의 장점 이해, 자원봉사 기회 탐색
- 평생교육 : 평생교육을 통한 자원봉사 및 취미개발 방법 탐색
5. 취업 및 창업
○ 경제적 어려움 극복을 위한 재취업 및 창업 준비
○ 기존 직업, 개인 성격, 환경 등을 고려한 재취업 및 창업 준비 진행 필요
[내용]
- 취업 및 창업 능력 검사 : 직업 적성 검사, 창업 적성검사, 성격유형 판단, 목표 설정
- 취업준비 관리 : 취업자료 찾기, 취업 현황 분석, 구직서류 작성법, 면접법
- 창업 준비 관리 : 사업계획서 작성, 창업 현황 분석, 사업아이템 분석, 상권 분석
- 취업기회 탐색 : 노인 취업 박람회, 취업 성공 기관, 취업 능력 개발 기관 방문 등
'공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하고 까칠하게 나이 들어가기” (2) (0) | 2022.06.23 |
---|---|
“건강하고 까칠하게 나이 들어가기” (1) (0) | 2022.06.20 |
“휴, 그래도 간신히 여기까지 왔네.” (0) | 2022.06.14 |
오징어게임 감독(황동혁) 인터뷰 (0) | 2021.10.18 |
해외트레킹 열풍(한달동안 걷는다고!!!) (0) | 2021.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