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7 3

받아쓰기 100점 비법

[김수은*초등교사] 학부모&교사 공통고민, 맞춤법 교육먼저 많은 분께서 이렇게 맞춤법이 고민이라는 이야기를 저한테 정말 많이 하세요. 학부모님도 선생님도 저에게 많은 메시지를 주시는데 저는 당연하다고 생각하거든요. 아이들이 한글을 배운 지 얼마 안 돼서 맞춤법을 틀리는 건 당연하다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학부모님의 입장은 조금 다른 게 어느 정도여야 하지 이해하고 ‘그래, 이 정도는 헷갈릴 수 있겠다’라고 말씀을 하시는데 보여드리면 정말 이 정도는 기본적인 맞춤법이잖아요. 학부모님께서 “이 정도는 너무 심하지 않냐.” 이것도 모르게 되면 혹시나 우리 아이가 다른 친구들한테 놀림을 받지는 않을지, 무시를 당하지 않을지 조금 걱정돼서 혹은 수행평가 할 때 이런 것들 때문에 선생님이 아이의 글을 조금 낮게 평가..

공감 2025.07.17

우리가 수학을 배우는 이유

[배상면*수학강사]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과학책이자 수학책은 이건 반박 불과 딱 두 권입니다. 하나는 유클리드의 기원전 300년에 쓰여진 책이고요. 또 하나는 뉴턴의 입니다. 이것 말고도 위대한 과학책 많잖아요. 물론 많죠. 그러나 우리는 유클리드 원론>과 프린키피아>가 쓰여진 서술방식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여기에는 다른 책들과 다르게 ‘공리’라는 게 등장하는데요. 10개의 법칙으로 수학을 설명한 유클리드유클리드 원론>은 공리가 딱 10개 나옵니다. 그리고 수학 전체를 공리 열 개만 가지고 서술을 하고 있죠. 그래서 수학자 과학자들이 어린 시절에 유클리드 원론>을 접하고 ‘수학이 이런거야?’ ‘뭐 이런 미친 책이 다 있지?’ 이러고는 수학에 빠져서 나중에 수학자, 과학자로 성장하는 기반이 됩..

공감 2025.07.09

부모도 아이도 지치지 않는 느린 아이 훈육법

[천근아*소아정신의학과] 느린 아이들, 특히 어린아이 중에서도 가장 심각한 사례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이들이기 때문에 그런 아이들에 대한 훈육은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한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느린아이 훈육, 어떻게 하고 계신가요?대부분 훈육을 할 때 부모님들은 처음에는 약간 받아주시다가 나중에 못 견디실 때 버럭 화를 내거나, ‘아니야, 내가 더 이상 받아줬다는 애가 기어오를 것 같아.’ 그러면서 그때 막 제동을 거시는 분들이 대부분이거든요. 제일 안 좋은 거예요. 비일관적인 태도. ‘아니, 허용할 때는 언제고 엄마가 갑자기 왜 제동을 걸지?’ 얘네들은 그렇게 생각합니다. 특히 느린 아이일수록, 특히 자폐스펙트럼장애일수록 허용해 줬던 그것만 기억해요. 예를 들어서 자기 머리를 막 때렸더니 엄마가 “알았..

공감 2025.07.04
반응형